단독주택은 단순히 주거 형태의 선택이 아니다. 그것은 나를 위한, 나에 의한, 철저하게 나만의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본능적인 욕구에서 비롯된 결정이다. 사회에는 언제나 '남부끄럽지 않게' 혹은 '남부럽지 않게'라는 말이 습관처럼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비교라는 전제를 깔고 있으며, 이 비교는 삶 속에 깊이 뿌리내려 있다. 선택을 하든, 그 선택 뒤에는 늘 다른 사람과의 비교가 자리하고 있다. 이 비교는 단순히 행위를 평가하는 것을 넘어, 스스로를 정의하는 틀을 제공하기도 한다.
비교의식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동서양의 농업 양식에서 찾을 수 있다. **리처드 니스벳(Richard Nisbett)**은 그의 저서 *"생각의 지도(The Geography of Thought)"*에서 논농사와 밭농사가 동서양의 인식 차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동아시아에서 벼농사는 공동체의 협력이 필수적인 노동 집약적 작업으로, 물을 공유하고 노동을 분담하며 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집단 중심적 사고와 관계의 조화가 중시됐다. 이와는 달리 서양의 밭농사는 개인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이 많아 개인주의적 사고와 논리적 분석이 발달했다.
한국 사람들은 이러한 동아시아적 맥락 속에서 집단의 시선과 평가에 민감해졌다. 비교는 사회에서 필연적이며, 그 비교가 때로는 분노와 질시를 일으키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눈에 보이는 것들, 즉 집, 차, 옷과 같은 외형적인 요소들이 비교의 주요 대상이 된다. 남들보다 더 나은 집을 갖고자 하는 욕구는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그 욕구가 나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
단독주택을 소유한다는 것은 이러한 비교의 틀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나를 위한 공간을 창조하는 것이다. 그것은 남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한 첫걸음이다. 공동주택에서는 언제나 다른 사람과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지기 마련이다. 층간 소음, 주차 문제, 그리고 엘리베이터에서 마주치는 이웃의 시선까지, 우리는 늘 누군가와 비교당하고 평가받는 상황에 처해 있다.
하지만 단독주택에서는 그 모든 것이 사라진다. 단독주택은 나만의 영역이다. 정원을 가꾸고,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마당을 갖추고, 아침마다 새소리를 들으며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그곳. 이 모든 것이 단독주택만이 제공할 수 있는 특별한 가치다.
유럽의 귀족들이 자신만의 성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독립된 삶을 살았듯이, 현대의 단독주택은 나만의 자유와 독립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이다. 그것은 단지 물리적인 집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단독주택은 내가 만든 작은 세계로, 남들과의 비교에서 벗어나 나만의 삶을 실현할 수 있는 무대다. 결국, 단독주택을 선택한다는 것은 남의 시선이 아닌 나의 가치와 행복을 중심으로 삶을 재구성하는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