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심점이 된 나무, 마을의 기억을 담다

2024.09.12

나무는 마을의 중심이었다. 그저 자연 속에 존재하는 한 그루의 나무가 아니었다. 그것은 마을의 역사와 함께 살아 숨 쉬며, 사람들의 삶과 자연이 만나는 지점이었다. 특히 한국 전통 마을에서 나무는 단순한 조경의 요소를 넘어, 공동체 생활의 핵심이자 마을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나무는 그 자체로 마을의 정체성을 만들었고, 사람들은 그 나무 아래에서 소통하며 서로를 이해하고 공존하는 법을 배웠다.

나무는 그 상징성에서 안정과 연결의 의미를 가지며, 마을 사람들에게 심리적 안식처를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나무의 상징성은 마을의 공동체 결속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나무 밑의 공간은 마을에서도 특별했다. 커다란 나무 그늘은 집보다도 더 넓은 지붕을 제공했고, 사람들은 그 그늘 아래 자연스럽게 모여들었다. 그 중심에 놓인 평상은 단순한 나무판이 아니라, 마을 사람들의 일상과 공동체의 생활이 펼쳐지는 무대였다. 평상은 개인의 공간과 공공의 공간이 자연스럽게 교차하는 장소였고,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그 자리에 앉아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이 공간은 철학자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강조한 '공적 영역'의 개념과도 일치한다고 여겨지며, 사람들이 모여 의견을 나누고 공통의 경험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는 중요한 장으로 기능했다.

 

평상 위에서의 시간은 느리게 흘렀다. 나무 그늘 아래에서 할아버지들은 지팡이를 옆에 두고 느긋하게 담소를 나눴으며, 아이들은 그 주변에서 뛰어놀며 세상을 배웠다. 어른들은 그 자리에서 서로의 안부를 묻고, 농사일이나 일상의 소소한 일들을 나누었다. 때로는 깊은 이야기가 오가기도 했고, 때로는 소소한 농담과 웃음이 흘렀다. 나무는 그 모든 것을 품었다. 건축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는 그의 저서 '패턴 언어'(A Pattern Language)에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이는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나무 그늘 아래 평상이야말로 사람들이 스스로 모여드는 공간적 '패턴'의 대표적 예시라 할 수 있다.

나무 아래 평상은 그 자체로 마을의 거실이자, 마을 사람들의 집합 공간이었다. 나무의 그늘은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힘이 있었고, 그곳에서의 대화와 활동은 마을 공동체를 더 끈끈하게 묶어주었다. 평상은 종종 나무의 뿌리 주위에 자리 잡았고, 그 뿌리와 평상은 하나의 통합된 공간을 이루었다. 나무의 뿌리가 땅속 깊이 뻗어 마을의 땅과 연결되듯, 그 위에 놓인 평상은 사람들을 하나로 이어주는 상징적 매개체가 되었다. 이는 철학자 가브리엘 마르셀(Gabriel Marcel)이 말한 '뿌리내림'(being rooted)의 중요성과 일맥상통한다. 사람들은 그곳에서 과거를 이야기하고, 현재를 살아가며, 미래를 꿈꾸었다.

 

나무 밑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은 마을의 중요한 의식적 순간이기도 했다. 나무는 단순한 자연의 일부를 넘어, 마을의 중요한 결정들이 이루어지는 장소였다. 사람들은 나무 아래에서 마을의 운명을 함께 논의했고,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마다 나무는 그 자리를 지켰다. 나무는 그 자체로 마을의 일상과 역사를 이어주는 존재였다.

나무 그늘 아래의 공간은 쉼과 여유를 제공했다. 그곳에 앉으면 시간은 느리게 흘렀고, 자연스럽게 마음의 짐을 내려놓을 수 있었다. 나무의 두터운 그늘은 여름의 뜨거운 햇볕을 막아주었고, 바람에 스치는 나뭇잎 소리는 사람들의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어주었다. 나무는 마을 사람들에게 단순한 자연의 일부가 아니었다. 그 나무 아래에서 사람들은 자연의 소리를 들으며, 서로의 삶을 나누고 마음의 위로를 얻었다. 이와 관련해 일본의 저명한 의사이자 '숲치유' 개념을 도입한 미야자키 요시후미(Miyazaki Yoshifumi)는 자연 환경에서의 휴식이 인간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강조한 바 있다. 나무 그늘 아래의 평상은 이러한 자연 치유의 일환으로 기능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치유의 집을 설계할 때, 툇마루 앞 나무의 배치는 마을의 스케일을 집의 스케일로 바꿔서 만든 공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결국, 나무는 마을의 구심점이자 공동체의 상징적인 오브제였다. 그것은 마을 사람들의 일상과 역사를 담아내는 중요한 그릇이었고, 마을의 영혼을 간직한 존재였다. 나무는 마을의 시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그 자리에 변함없이 남아 있었다. 이와 같이 치유의 집을 설계할 때도 툇마루 앞 나무의 배치를 통해 집의 구심점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마을의 구심점 역할을 했던 나무가 집의 스케일로 전환되어, 집 안에서 자연과의 연결을 경험하도록 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