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집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설계되는가?

2025.01.23

"일반집"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은 건축을 논할 때 가장 흔하게 떠오르는 물음 중 하나이다. 흔히 일반집이라 불리는 주택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평범한 집들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 평범함 속에는 무언가 아쉬움이 내재되어 있다. 단순히 눈에 보이는 외형이 아니라, 그 집이 설계되고 시공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들이 바로 그 핵심이다. 특히, 일반집의 설계는 인허가라는 행정적 절차를 통과하기 위한 도구로 변질되었고, 이는 건축의 본질적 가치를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건축설계 도면의 질적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원인을 단순히 건축사의 역량 부족으로 돌리기는 어렵다. 근본적으로 문제의 뿌리는 "싸게, 빠르게"라는 시장 논리에 있다. 설계와 시공의 품질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비용과 시간이 필수적이지만, 시장의 압박은 이를 무시한다. 가격 경쟁에 밀려 건축사들은 더 낮은 설계 비용으로 더 많은 프로젝트를 처리해야 하며, 이로 인해 충분한 고민 없이 도면이 제작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경쟁은 단순히 개인의 책임을 묻기보다는, 구조적 문제를 직시해야 하는 이유를 보여준다. 싸게 설계하려는 시장의 요구와 건축사의 생존 전략이 만나면서 건축품질의 전반적인 하향 평준화를 초래한 것이다.

 

이로 인해 인허가 도면은 최소 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건축사의 창의성과 전문성은 빛을 발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어야 할까? 일반집이라는 틀 안에 갇혀 있는 한, 건축은 단순히 "허가받기 위한 작업"으로 전락할 뿐이다. 이 문제는 단순히 건축사 개인의 책임으로 치부하기에는 지나치게 구조적이며, 또한 건축사라는 직업이 처한 현실을 반영한다. 결국, 문제는 건축사들이 아니라, 건축을 비용 절감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과 시장 논리 속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적 문제 속에서도 희망은 있다. 건축은 단순한 "허가를 위한 도면 작성"이 아닌, 사람들의 삶을 담아내는 공간을 만드는 작업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 설계 도면은 단순히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는 문서가 아니라, 삶의 질을 담보하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 싸게, 빠르게라는 논리 속에서도, 건축사가 자신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시장과 조화롭게 연결할 방법을 모색한다면, "일반집"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평범함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단지 건축사들만의 몫이 아니다. 소비자들 또한 싸게 지으려는 인식을 넘어, 설계와 시공의 가치를 이해하고 이를 존중해야 한다. 시장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건축사와 소비자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결국, "일반집"의 개념은 건축에 대한 우리의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집이란 단순히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건축물이 아니다. 그것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 그리고 그 공간을 구성하는 철학과 가치를 담고 있다. 그래서 건축설계가 단순한 인허가의 도구로 머물지 않기 위해서는, 시장의 요구와 건축사의 역할, 소비자의 인식이 모두 변화해야 한다. 일반집이 평범함 속에서도 특별한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건축이 단순한 비용 절감의 대상이 아니라, 삶을 담는 작업이라는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